티스토리 뷰
우리나라에 소 전염병인 럼피스킨병이 퍼지고 있다는 얘기 들었을 것입니다. 럼피스킨병이 정확히 어떤 병인지, 현재 확산 상황과 정부의 대응 정리했습니다.
럼피스킨병이 정확히 어떤 병
럼피스킨병은 소의 피부(Skin)에 혹·덩어리(Lumpy)가 생기는 병입니다. 1929년에 아프리카 잠비아에서 처음 발견돼 오랫동안 아프리카 지역의 풍토병이었습니다. 2010년대 들어 유럽을 거쳐 아시아까지 퍼졌습니다. 전파력이 강하고 농가 피해도 커 우리나라에서는 제1종 가축전염병으로 분류되어 있습니다.
모기 같은 곤충에 의해 감염되고, 감염된 소와의 접촉으로 전염될 수도 있습니다. 이 병에 걸린 소는 불임·유산 등을 겪고, 우유 생산량이 줄어듭니다. 감염된 소의 10% 정도는 사망에 이르는데, 사람에게는 전염되지 않는다고 합니다.
럼피스킨병에 대한 백신이 궁금하면 클릭하기
지금 상황은 어때?
국내 발생이 처음 확인된 건 지난 20일, 충청남도 서산시의 소 농장이었습니다. 우리나라에서 럼피스킨병이 발병한 건 아예 처음이었습니다.
충청남도와 경기도에 이어 충청북도에서도 감염 농가가 확인되면서 사흘 만에 전국 17곳(23일 오후 기준)에서 확진 사례가 나왔습니다.
정부는 잠복기를 거치고 증상이 드러나는 중이라면 추가 감염이 생길 수 있다며 “엄중한 상황”이라고 했습니다.
정부는 어떻게 대처
중앙사고수습본부(중수본)는 위기 경보를 최고 단계인 ‘심각’으로 올리고 총력 대응에 나섰습니다.
감염 막고
경기·충남권 등의 모든 소 120만 마리에 긴급 백신 접종을 실시하고 항체가 생길 때까지 3주 동안은 방역에 집중하기로 했습니다. 감염된 소는 모두 도살처분( 도살처분: 전염병이 돌 때 동물들을 집단 도살하는 것 )하기로 했습니다. 농가와 관계자에 출입통제·이동금지 조처를 내렸습니다.
국민 안심시키고
전염병이 유행하자 혹시나 하는 마음에 한우나 유제품 소비가 움츠러들 수 있다는 걱정도 나오고 있습니다. 정부는 “감염된 소는 모두 살처분된다”라며 불안해할 필요 없다고 했습니다. 현재 사육되는 소가 평년에 비해 많은 편이고, 우유 가격은 미리 별도로 정해지므로(=원유가격연동제) 한우·우유 가격이 크게 오르지는 않을 거라고도 했습니다.
전염병, 점점 더 늘어나는 것 같다
엄청나게 많은 동물을 좁은 곳에 가두어 기르는 공장식 축산이 전염병 문제를 더 심각하게 만든다는 말도 나오고 있습니다. 바이러스는 밀집된 곳에서 빠르게 퍼지기 때문입니다.
열악한 환경에서 자란 동물은 면역력도 떨어져 있는 상태입니다. 대량 생산되어 유전적으로 찍어낸 듯 닮았기 때문에 한 마리가 병에 걸리면 줄줄이 옮을 확률도 높다고 합니다.
기후위기도 전염병 위험을 키우는 요인입니다. 기온이 오르면 바이러스는 더 강해지고, 병을 옮기는 모기 같은 생물이 늘어나기 때문입니다.
발병농가
강원도 양구군
가축 전염병인 럼피스킨병이 강원도 내에서는 처음으로 양구군의 한우 농가에서 확진됐습니다. 강원도는 해당 농가에 대한 역학 조사와 긴급 소독을 벌이고, 농장의 소 29마리는 매몰 처분할 계획입니다.
또, 발생 농가 반경 10km를 방역대로 정하고, 방역대 안에 있는 양구군과 인제군의 127개 농가, 5천여 마리에 대해 한 달 동안 이동 제한 조치하고, 백신을 긴급 접종할 계획입니다.
충남 홍성군
충남에서는 하루새 서산, 당진에서 5곳이 추가로 확진돼 확진 공가는 14곳으로 늘었습니다.
홍성군은 충남 최대 축산단지로 1707 농가에서 소 6만 6252마리를 사육하고 있습니다. 이 농장 주변 500m 이내에 있는 292마리(7 농가), 500m~3km 2700여 마리(83 농가), 3~10km 2만 5838마리(541 농가)가 사육되고 있습니다.
'이슈, 금융'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국민의힘 혁신위원장 인요한에 대한 궁금증 (0) | 2023.10.25 |
---|---|
이재명 당무 복귀와 여야 민심 잡기 경쟁, 총선 모드 (0) | 2023.10.24 |
헌법재판소장 이종석 후보자 지명, 민주당 송곳 검증 예고 (1) | 2023.10.23 |
카카오 SM 주가 조작 의혹, 카카오의 최대 위기, 카카오뱅크와 이별 (0) | 2023.10.23 |
가장 친환경 수소인 그린 수소 만드는 것이 힘들다는 딜레마 (1) | 2023.10.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