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 가자지구를 꽉 잡고 있는 하마스 간 분위기가 점점 험악해지면서 전쟁이 더 커질 수도 있다는 얘기가 나오고 있습니다. 이 영향으로 세계 경제도 잔뜩 움츠러든 상황입니다. 이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세계 경제는 왜 긴장
우크라이나 전쟁을 겪으면서 세계 경제가 안 좋아지는 걸 이미 한번 봤기 때문입니다. 전쟁 영향으로 전 세계 식량·에너지 공급망이 꽉 막혔고 가격이 폭등했습니다. 이 영향으로 내내 물가가 치솟고 기준금리도 오르면서 투자·대출·소비 등 시들 거리지 않는 부분이 없었습니다. 그런데 최근 경제가 안정세를 찾아가고 있었어요. 물가는 잠잠해지는 중이었고 기준금리 올리는 속도도 느려지고 있었거든요. 이 와중에 새로운 전쟁이 터지면서 세계 경제가 안 좋았던 때로 돌아가는 게 아니냐 불안해하고 있습니다.
진짜 돌아가는 건 아니겠지?
전쟁이 흘러가는 방향에 따라 크게 3가지 예측이 나오고 있습니다.
시나리오1 이스라엘 하마스
이스라엘과 하마스가 이른 시일에 전쟁을 멈추는 게 가장 좋은 시나리오입니다. 이번에는 휴전 가능성이 적다는 분석입니다. 전쟁이 길어질수록 세계 경제는 더 쪼그라들 것입니다.
시나리오2 이스라엘 vs. 하마스 + 아랍
이스라엘 주변엔 시리아·레바논 등 온통 사이가 안 좋은 나라뿐입니다. 이스라엘이 지상군을 이끌고 가자지구를 공격하면 주변국까지 전쟁에 뛰어들 가능성이 있습니다. 이미 이스라엘과 싸우고 있는 곳도 있습니다. 실제로 참전하는 나라가 늘어나면 국제유가가 본격적으로 뛰기 시작할 거라는 분석입니다.
시나리오3 미국·이란까지 다 뛰어든다면
최악의 시나리오입니다. 이스라엘·미국 vs. 이란까지 전쟁이 확대되면 세계 경제가 빠져나오기 어려운 대혼란의 소용돌이에 갇힐 가능성이 커집니다. 우크라이나 전쟁 이후 경제가 안 좋아진 과정 ‘물가 상승 → 기준금리 인상 → 경기 침체’가 반복되는 것입니다.
‘오일쇼크’ 가능성?
이란이 참전하면 국제유가가 배럴당 150달러까지 오르는 ‘오일쇼크’가 올 거라고 예상됩니다. 이란은 주요 산유국 중 한 곳이고 세계 원유를 수송하는 배가 드나드는 길(호르무즈 해협)을 꽉 쥐고 있습니다. 호르무즈 해협이 막히면 원유가 제때 도착하지 못할 가능성이 커집니다. 이러면 석유로 만드는 물건과 원자재 가격도 오를 것입니다.
우리나라도 영향을 받겠네
한국 경제도 예외일 수는 없습니다. 우리나라 경제에 미치는 영향을 몇 가지 알아보겠습니다.
비싸지는 아파트 분양가
아파트 분양가가 오를 수도 있습니다. 건설자재 가격이 올라 공사비가 예상보다 더 많이 들 수도 있습니다. 이미 지난해에도 우크라이나 전쟁으로 아파트 분양가가 뛰었습니다.
먹구름 낀 반도체 공장
이스라엘에는 인텔 공장이 있습니다. 여기서 만드는 중앙처리장치(CPU)는 삼성전자·SK하이닉스의 반도체를 지원합니다. 이 공장이 멈추면 우리 기업의 반도체도 함께 팔리지 않을 수 있다는 걱정이 나오고 있습니다.
다시 계획 짜야하는 건설업계
건설업계는 우리나라의 부동산 시장이 시들하자 해외로 눈을 돌렸습니다. 하지만 잘 진행되던 계약이 미뤄지거나, 계약을 해놓고도 삽을 못 뜰 가능성이 커졌습니다.(예: 네옴시티 프로젝트). 미래가 어떻게 될지 모르는 불안한 상황에서 큰돈을 투자하기 어렵기 때문입니다.
'이슈, 금융'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국내 중고차 시장에 이달 24일부터 티라노사우루스 등장 (1) | 2023.10.20 |
---|---|
EU가 도입한 탄소국경세, 우리 기업의 수출길이 달려 있는 중요한 문제 (0) | 2023.10.19 |
글로벌 투자은행인 HSBC와 BNP파리바의 불법 무차입 공매도 행위를 적발 (1) | 2023.10.18 |
이스라엘-팔레스타인 전쟁의 역사적 배경, 끊어지지 않는 악순환의 고리 (0) | 2023.10.14 |
이스라엘-팔레스타인 전쟁 - 경제(유가 상승, 주가하락, 환율상승) 국제정치 영향 (1) | 2023.10.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