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name=https://blog.kakaocdn.net/dn/O4ToR/btsgex3p3ZP/e4foKxb5i8ZVpDY3OUcBuk/img.jpg)
당신의 공부는 틀리지 않았다의 저자는 사오 TV이다. 공부에 사용하는 머리를 뇌과학과 연결해서 이야기해 주는데 너무 재밌다. 뇌과학 책은 우울증이나 무기력과 관련된 책 위주로만 봤었는데, 배워두면 공부할 때도 엄청 도움이 많이 될 것 같다는 생각이 들었다. 이 책의 저자, 줄거리, 느낀 점을 적어본다. 저자 사오는 누구인가 전문대 졸업 후 처음으로 공부를 제대로 하고 싶다는 마음이 생겨 스스로의 의지로 다시 공부를 시작했다. 뒤늦게 친 수능에서 좋은 성적을 받고 대구대 특수교육과에 입학, 기세를 이어 임용고시에 도전했다. 하지만 열심히 공부하고 노력해도 나만 빼고 주변 친구, 후배들이 시험에 합격하는 상황. ‘왜 나만 안 되는 거지? 내 노력이 부족했나?’ 이 상황이 괴로워 자책하길 수만 번, 그 원인이..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name=https://blog.kakaocdn.net/dn/NaE1Z/btsgkLsl9Xv/w7DkNUoACUqOtkuGlmFJEK/img.jpg)
국내 최고의 명상 유튜브 채널을 운영하며 명상 대중화에 기여하고 저자는 실시간 방송으로 명상과 수행을 함께하는 40만 명의 명상 멘토다. 2018년 마음 치유 프로그램 귓전명상을 개발했으며 서울에 귓전명상센터를 설립했다. 또한 유튜브 채널 감사운 TV를 통해 감사하면 할수록 운이 좋아지는 방법을 알리고 운을 부르는 습관은 따로 있다고 하는 이 책의 저자, 줄거리, 느낀 점을 적어본다. 저자는 채환은 누구인가 명상가. 국내 최고의 명상 유튜브 채널 귓전명상 채환 TV를 운영하며 명상 대중화에 기여하고 있다. 실시간 방송으로 명상과 수행을 함께하는 40만 명의 명상 멘토다. 2018년 마음 치유 프로그램 귓전명상을 개발했으며 서울에 귓전명상센터를 설립했다. 또한 유튜브 채널 감사운 TV를 통해 감사하면 할수..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name=https://blog.kakaocdn.net/dn/Cee28/btsf41iXSEp/dKURZSa4hmJzKTE6qy2QNk/img.jpg)
경영의 신 이나모리 가즈오의 마지막 유작. 경영 리더로서 일생의 깨달음을 담은 경영 12개 조. 이것만 제대로 지키면 사업은 반드시 잘된다! 세상의 복잡해 보이는 현상도 그것을 움직이고 있는 원리 원칙을 안다면 실제로는 단순 명쾌한 것이 된다. 경영 12개 조는 어떻게 하면 회사를 잘 운영할 수 있을까? 에 답하는 경영의 원리 원칙을 저자 자신의 경험을 토대로 알기 쉽게 정리한 것이다. 이 책의 저자, 줄거리, 느낀 점을 적어본다. 저자 이나모리 가즈오 누구인가 이나모리 가즈오는 일본 교세라 창립자이자 명예회장. 일본뿐만 아니라 세계에서 가장 존경받는 경영자 중 한 사람으로 꼽히며 살아 있는 경영의 신으로 불린다. 1932년 일본 가고시마에서 태어나 가고시마대학교 공학부를 졸업했다. 졸업 직후 간신히 교..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name=https://blog.kakaocdn.net/dn/qjCWK/btsf42OZJaW/A5kBduMOhsJLz6sQyTkjGk/img.jpg)
경영의 신神, 이나모리 가즈오 철학을 집대성한 27가지 금과옥조 인생 키워드. 교세라 명예회장 이나모리 가즈오의 인생철학을 집대성한 책. 90세를 바라보는 그가 60년 가까이 경영을 하며 배우고 깨달은 점을 27가지 인생 키워드로 묶었다. 그가 강조하는 것은 지식이나 능력이 아니다. 오히려 개인이든 조직이든 ‘재능’을 경계하고, 탐욕·화·어리석음이라는 ‘3독毒’을 주의하라고 일침 한다. 이 책의 저자, 줄거리, 느낀 점을 적는다. 저자 이나모리 가즈오는 누구인가 저자 이나모리 가즈오는 1932년 가고시마 현에서 태어나 가고시마 대학 공학부를 졸업했다. 1959년 교토 세라믹 주식회사(현 교세라)를 설립해 사장, 회장을 거쳐 1997년부터 명예회장을 역임하고 있다. 1984년에 제2전전(현 KDDI)을 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