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28일 통계청이 '사회조사로 살펴본 청년의 의식 변화'를 발표했습니다. 결혼에 대해 긍정적으로 생각하는 청년은 36.4%로 10년 전(56.5%)보다 20.1% P 줄어들었습니다. 결혼 후 자녀를 가지지 않아도 된다는 비율도 53.5%로 집계됐습니다.
결혼 안 하는 이유 1위 '결혼자금 부족', 2위 '필요성 못 느껴'입니다. 10명 중 8명 '비혼 동거 가능'하다고 응답했습니다.
청년의 의식변화
청년 절반 이상은 결혼을 하더라도 자녀를 가질 필요가 없다고 생각했습니다.
통계청은 28일 이런 내용을 담은 '사회조사로 살펴본 청년의 의식변화'를 발표했습니다.
결혼에 대해 긍정적으로 생각하는 청년은 작년 5월 기준 36.4%로 10년 전인 2012년(56.5%)보다 20.1% p 감소했습니다.
이는 전체 인구 중 결혼에 긍정적인 인구 비율(50.0%)보다 13.6% p 낮은 수준입니다.
결혼에 긍정적인 청년의 비중은 여자 28.0%, 남자 43.8%로 각각 10년 전보다 각각 18.9% p, 22.3% p 낮아졌습니다.
연령별로는 19∼24세 34.0%, 25∼29세 36.1%, 30∼34세 39.2% 등입니다.
통상 결혼 적령기로 꼽히는 30대 초반에서도 결혼에 긍정적인 응답이 과반에 못 미친 것입니다.
청년들은 '결혼하지 않는 사람들이 결혼하지 않는 주된 이유'로 결혼자금 부족(33.7%)을 가장 많이 꼽았습니다.
이어 결혼 필요성을 못 느낌(17.3%), 출산·양육 부담(11.0%), 고용 상태 불안정(10.2%), 결혼 상대 못 만남(9.7%) 등의 순이었습니다.
결혼 자금 부족
결혼 자금 부족을 이유로 꼽은 이들의 비중은 여성(26.4%)보다 남성(40.9%)에서 높았습니다.
남녀가 결혼하지 않더라도 함께 살 수 있다고 생각하는 청년의 비중은 80.9%로 10년 전보다 19.1% p 높아졌습니다.
청년 절반 이상은 결혼하더라도 자녀를 가지지 않아도 된다고 생각했습니다. 이 비율은 2018년 46.4%, 2020년 50.5%, 작년 53.5% 등으로 계속 높아지는 추세입니다.
청년의 부모와의 관계
자신과 부모와의 관계에 만족한다고 응답한 청년과 전반적인 가족관계에 만족한다고 한 청년은 '결혼 후 자녀를 가져야 한다'라고 응답한 비중이 각각 57.6%, 57.1%로 전체 청년 집단(46.5%) 보다 높았습니다.
이유가 있으면 이혼하는 게 좋다고 생각하는 청년 비중은 24.1%로 10년 전보다 11% p 상승했습니다.
비혼 출산에 동의하는 청년 비중은 10년 전보다 9.8% p 올라 지난해 39.6%를 기록했습니다.
입양 의사가 있는 청년 비중은 31.5%로 10년 전보다 20.5% p 감소했습니다.
입양하고 싶지 않은 이유는 '입양의 필요성을 못 느껴서'(43.1%), '친자녀처럼 양육할 수 있을지 걱정돼서'(37.6%) 등이었습니다.
국제결혼과 부모님 노후
국제결혼에 대해서는 청년의 83.3%가 긍정적으로 응답했습니다. 10년 전보다 긍정 비율이 9.5% p 높아졌습니다.
가족이 부모님의 노후를 책임져야 한다는 응답은 20.6%로 10년 전보다 12.6% p 줄었습니다. 60.7%는 가족·사회·정부가 함께 부모님의 노후를 책임져야 한다고 생각했고, 15.0%는 부모님이 스스로 해결해야 한다고 봤습니다.
직업 선택 시 중요하게 생각하는 요인
청년들이 직업을 선택할 때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요인(이하 2021년 기준)은 수입(35.8%), 안정성(22.1%), 적성·흥미(19.1%), 근무 환경(9.8%) 순이었습니다.
다만 19∼24세 청년은 25∼34세 청년과 달리 안정성(19.9%) 보다 적성·흥미(24.2%)를 더 중요하게 생각했습니다.
선호 직장은 2011년에는 국가기관(27.7%), 대기업(19.6%), 공기업(19.3%) 순이었으나 2021년에는 공기업(23.2%), 국가기관(20.8%), 대기업(20.2%)으로 바뀌었습니다. 공무원보다 공기업 인기가 더 좋아졌습니다.
청년들의 육아부담과 여성들의 취업
청년들은 남녀 모두 육아 부담(46.3%)을 여성 취업의 가장 큰 장애요인으로 여겼습니다. 다음은 사회적 편견(18.5%), 불평등한 근로 여건(13.8%) 순이었습니다.
여성이 출산·자녀 성장과 상관없이 계속 취업 상태를 유지하기를 원하는 청년의 비중은 74.0%로 10년 전(53.2%)보다 20.8% p 높아졌습니다.
청년 절반 이상(54.8%)은 가까운 미래에 직장을 잃거나 직장을 바꿔야 한다는 불안감을 느낀다고 답했습니다. 다만 이 비율은 10년 전보다 8.0% p 떨어졌습니다.
'이슈, 금융'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안정성 최고인 현대차 아반떼, 지옥 점령한 경주마로 월드투어 우승 (1) | 2023.08.30 |
---|---|
여자축구 우승 시상식에서 '강제 키스'로 난리 난 스페인 현재 상황 (0) | 2023.08.30 |
중국 헝다, 주식거래 재개 후 장중87%하락 시총3.2조원 사라져! (0) | 2023.08.29 |
포스코와 현대차 단체 임금 협상 결렬, 맴도는 파업 전운 (0) | 2023.08.29 |
하반기 IPO 시장 반등, 조 단위 대어 연달아 등장 (0) | 2023.08.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