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728x90
반응형

간편 결제 서비스의 이용이 올해 상반기에도 크게 늘어났습니다. 애플페이의 효과가 톡톡했던 것으로 보입니다. 수수료 문제는 해결할 과제로 남았습니다. 이게 왜 중요하는지 알아보겠습니다.

지갑 없는 세상 한 발짝 다가왔다! 이젠 페이가 대세다
지갑 없는 세상 한 발짝 다가왔다! 이젠 페이가 대세다

페이, 한 걸음 가까이

지갑 없는 세상이 한 발짝 다가왔습니다. 간편 결제 서비스의 상승세가 꺾이지 않은 것입니다. 엔데믹을 맞이한 2023년 상반기에도 이용 건수와 이용 금액 규모가 모두 증가했습니다.

결제의 새로운 기준 토스페이먼츠 이용 신청하기

(1) 간편 결제 서비스란

간편 결제 서비스는 공인인증서의 의무가 폐지된 2015년 등장했습니다. 비밀번호나 지문, 얼굴 등의 생체 정보 등 간편한 인증 수단을 활용한 결제 서비스를 말합니다. 한국은행의 통계 대상 업체는 55개에 달합니다.

(2) 오프라인에서도 힘 얻는다

애플페이의 상륙 이후 오프라인 간편 결제에도 갈수록 힘이 실리는 모습입니다. 삼성페이, LG페이, 애플페이처럼 휴대폰 제조사가 제공하는 간편 결제 서비스의 성장세가 특히 가파릅니다.

애플페이 등에 업고 날아오르다

애플페이 가입하러 가기

(1) 건수도 금액도

2023년 상반기 동안 하루 평균 간편 결제 서비스 이용 건수는 2,628만 건, 총액 8,451억 원을 기록했습니다. 각각 전년 동기 대비 13.4%, 16.9% 증가한 결과입니다. 2022년 상반기에 비하면 상승세에 더욱 힘이 실렸습니다.

(2) 애플페이 효과?

휴대전화 제조사의 비중이 올라간 점이 특히 눈에 띄는데요. 하루 평균 이용 건수와 금액이 각각 812만 6천 건, 2,117억 9천만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23%, 24.3% 급증했습니다. 애플페이의 도입이 어느 정도 영향을 미친 듯 보입니다.

밝은 미래, 기대해도 되는 거지?

간편 결제 이용은 앞으로도 꾸준히 증가할 전망입니다. 2년 뒤면 카드 이용액의 절반, 10년 뒤면 카드 이용액을 넘어설 가능성까지 타진됩니다.

(1) 간편 송금도 성장

한편, 간편 송금 간편 송금 서비스 이용도 늘어났습니다. 2022년 1월 시작된 마이데이터 서비스가 효과적으로 정착하고, 네이버페이카카오페이, 토스 등 전자금융업자를 중심으로 간편 송금 서비스가 자리를 다진 건데요. 하루 평균 610만 건, 7,461억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24.2%, 23.9% 증가했습니다.

카카오페이 가입하러 가기

빠른 성장에 드리워진 그림자?

(1) 수수료, 너무 높지 않아?

간편 결제는 도입 이후 카드사보다 가맹점 수수료가 높다는 비판을 받아왔습니다. 소상공인의 부담이 무겁다는 것이죠. 금융감독원이 2022년 12월 ‘빅테크 등 전자금융업자 수수료의 구분관리 및 공시 등을 위한 가이드라인’을 발표하면서 수수료는 계속 공시됐습니다.

(2) 여전히 카드사보다 높아

다행히 최근 전반적인 업계 수수료는 낮아진 편입니다. 다만, 카드사에 비하면 여전히 수수료가 눈에 띄게 높습니다. 평균적으로 비교해도 2배 정도의 차이가 납니다.

(3) 규제가 필요해

이에 가파르게 성장하는 간편 결제 시장에 대한 규제도 빠르게 마련돼야 한다는 지적이 나옵니다. 카드사와 형평성을 맞춰야 한다는 것인데요. 간편 결제 업체에서는 결제 과정 자체가 다르기 때문에 수수료만 비교해서는 안된다고 반박하는 중입니다.

애플페이 도입 벌써 반년, 현대카드는

(1) 3위 탈환

애플페이는 도입 후 반년 동안 업계의 많은 것을 바꿨습니다. 파트너인 현대카드를 통해 효과를 살펴볼 수 있는데요. 현대카드는 5월 회원 수 기준으로 KB국민카드를 제치고 3위에 올라섰습니다.

(2) 관심도 높았다

현대카드를 향한 소비자의 관심도 뜨거웠습니다. 올 2분기에도 국내 신용카드사 9곳 중 가장 높은 관심도를 기록했습니다.

(3) 효과, 거의 끝물?

다만, 이제 이런 성장세도 둔화하는 모습입니다. 신규 회원 수가 꾸준히 줄어들고 있기 때문입니다. 3월 20만 명 선에서 7월 12만 명 선으로 감소했습니다. 다시 KB국민카드에 3위를 내줄 수도 있다는 이야기도 나옵니다.

개념 한입

공인인증서: 인터넷 금융 거래, 민원서류 발급 등의 업무를 처리할 때 본인을 인증하는 데 필요한 자료입니다. 2015년 의무 사용이 폐지됐지만, 사용 금지가 아니고, 다른 인증 방법에 비해 독점적인 지위를 가지고 있어 여러 기관 등에서 계속 사용했습니다. 2020년 결국 전자서명법 개정안이 통과되며 우월한 법적 지위가 사라졌습니다. 이후 공동인증서로 이름이 바뀌었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