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728x90
반응형

자고 일어나면 상황이 바뀌어 있는 대장동 개발사업 특혜 의혹입니다. 이번에는 이름 나오는 사람 중 수상한 돈거래 의혹 드러난 세 명 유동규, 곽상도, 박영수를 살펴봤습니다.

이재명관련 대장동 개발사업 특혜의혹 3편
이재명관련 대장동 개발사업 특혜의혹 3편

1. 유동규 (전 성남도시개발공사 기획본부장)

이번 사건의 핵심 인물로 지목됐고, 3일에 구속됐습니다. 대장동 개발사업이 잘돼서 수익이 나면 돈을 성남시와 민간 사업자가 어떻게 나눌지 구조를 짠 주인공입니다. 의혹을 살펴보겠습니다.

청년주택임차보증금이자지원 바로가기

(1) 특혜의 설계자

1편에서 살펴본 것처럼, 이번 사건은 성남시보다 화천대유 등 민간 사업자로 참여한 7명이 더 많은 개발수익을 가져가 논란이 됐습니다. 애초에 화천대유 쪽에 유리하게 계약한 거라는 얘기가 나옵니다. 처음 이 사업을 계획할 때 이런 수익 구조를 막을 장치가 필요하다는 의견이 있었는데, 유 씨가 무시했다는 증언도 나왔습니다. 결과적으로 성남시가 손해를 보게 했다는 혐의(=배임)를 받았습니다.

(2) 그 대가로 700억 원

이렇게 힘을 써주는 대가로 화천대유로부터 돈을 받기로 했던 것 아니냐는 의혹이 나옵니다. 유 씨가 화천대유 측으로부터 700억 원을 받기로 했다는 녹취록이 나왔습니다. 녹취록에는 큰돈을 몰래 개인계좌로 받기 곤란하니, 유 씨가 ‘유원홀딩스’라는 회사를 새로 만들어 받기로 했다는 말도 있습니다. 검찰은 유 씨가 700억 중 5억 원을 먼저 받았다고 보고 있습니다.

2. 곽상도 (전 국민의힘 의원)

2편에서 살짝 살펴본 것처럼, 아들이 화천대유에서 6년 일하고 나오면서 퇴직금·성과급 등으로 50억 원을 받은 게 수상하다는 말이 나옵니다. 아무리 생각해도 퇴직금이라고 하기에는 너무 큰돈이라, 곽 의원이 화천대유 쪽에 힘을 써주고 아들을 통해 그 대가를 받은 것 아니냐는 것입니다. 대장동 개발을 하다가 조선시대 무덤이 나와 공사가 늦어질 뻔했던 걸 곽 의원이 해결해 준 거 아니냐는 의혹도 있는데, 아직 증거는 없습니다. 경찰과 검찰이 이 부분을 수사 중입니다.

3. 박영수 (전 박근혜·최순실 게이트 특별검사)

딸이 화천대유에서 일하면서 대장동 아파트를 시세보다 싸게 분양받았다는 의혹이 있었는데, 그게 전부가 아니라는 얘기가 계속 나옵니다. 박 전 특검의 먼 친척인 이 모씨도 얽혔기 때문입니다. 화천대유 주인 김만배 씨가 이 모씨에게 100억 원을 건넸다는 것입니다.
이 모씨는 아파트 분양을 대신 맡아서 하는 회사를 운영했습니다. 이 업체는 화천대유가 땅을 사들여 직접 아파트까지 공급한 대장동 5개 지구(아파트 단지 3곳)를 혼자 맡았습니다. 박 전 특검과 관련 있다는 증거는 아직 없지만, 일반적인 돈거래는 아니라 로비·돈세탁 의혹이 나옵니다. 김 씨는 “사업에 쓸 돈을 빌려준 것”이라고 했고, 박 전 특검은 “돈거래에 대해 전혀 모른다”라고 했습니다. 검찰은 이 돈이 어디로 갔는지 들여다보는 중이라고 합니다.

대장동대장동대장동
대장동대장동대장동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