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728x90
반응형


이스라엘-팔레스타인 하마스 전쟁 얘기로 세상의 모든 눈과 귀가 여기에 쏠려 있습니다. 하지만 먼저 분쟁이 시작됐지만 아직도 큰 어려움에 빠져있는 곳이 있습니다. 바로 미얀마인데, 쿠데타로 정권을 얻은 군부 정부군과 무장투쟁세력 간의 치열한 교전이 3년 가까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미얀마 쿠데타와 무장 투쟁 상황, 미얀마에도 봄이 올까요
미얀마 쿠데타와 무장 투쟁 상황, 미얀마에도 봄이 올까요

미얀마 어떤 상황인가

미얀마 군부는 2020년 치른 총선을 ‘부정선거’라고 주장하며 2021년 2월 쿠데타를 일으켜 권력을 장악했습니다. 이후 현재 상황 정리해보겠습니다.

민생은 뒷전

군부는 민생은 돌보지 않고 정권 지키기에만 몰두하고 있습니다. 미얀마는 지난해 기준 국민 절반 가까이가 빈곤층일 정도로 심각한 경제난을 겪고 있습니다. 게다가 저항 세력 진압에 경찰력을 총동원하면서 치안에 구멍이 뚫려 범죄율도 급증했습니다.

시위에서 무장투쟁

시민들은 쿠데타에 항의하며 시위에 나섰습니다. 군부는 폭력으로 진압했습니다. 그러자 민주진영 임시정부는 군대를 꾸려 무장투쟁에 나섰고요. 각 지역의 소수민족도 저항군을 조직해 군부에 맞서 대항하고 있습니다.

격화되는 분쟁

군부의 민간인을 상대로 한 폭격, 방화 등 전쟁범죄까지 크게 늘어 지역사회가 파괴되기도 했습니다. 얼마 전에는 미얀마 북부 난민촌이 폭격을 당해 29명이 넘는 민간인이 숨지는 일도 있었습니다.

상황 너무 안 좋아진 거 아냐

요즘은 군부의 통치가 조금씩 흔들린다는 얘기도 들립니다. 좀 더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저항 거세져

무장투쟁세력들이 힘을 모으고 있습니다. 미얀마 북부 난민촌 폭격에 대항해 저항군들이 힘을 합쳐서 해당 지역에서 정부군을 몰아내는 큰 전투를 벌였습니다. 이에 민주진영 임시정부 군대도 힘을 보태겠다고 나서며 전선이 커지고 있습니다. 심지어 친군부 성향이었던 민병대들도 무장투쟁세력에 하나둘 합류하고 있다고 합니다.

병력 부족해

정부군이 최소한의 병력을 갖추기도 힘든 상황이라는 이야기가 나오고 있습니다. 민주진영·저항군과의 교전으로 계속 사상자가 발생하고 있고, 탈영병도 늘어 공무원을 예비군·민병대로 편성할 정도라고 합니다. 군사학교 신입생도 크게 줄었습니다.

돈줄 막혔어

미국이 “우리 돈으로 전쟁범죄 저지르지 마!”하며 미얀마석유가스회사(MOGE)에 대한 금융제재를 발표했습니다.  MOGE는 미얀마 정부가 직접 운영하는 회사인데, 이 회사의 수익 중 상당액을 군부가 무기를 사는 데 쓰고 있다고 합니다. 미국은 MOGE가 미국 기업·미국인과 거래하는 걸 막겠다고 했습니다.

이제 미얀마에 봄이 오는 거야

조금 더 지켜봐야 합니다. 국제사회에서 왕따인 미얀마 군부를 중국·러시아가 계속 지원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중국은 최근 미얀마 군부와 군사협력 방안을 논의했고, 러시아도 미얀마에 석유와 무기를 계속 공급하고 있어서, 현재 미얀마 정부군이 북부 지역 저항군을 향해 반격을 예고한 상황입니다.

미얀마미얀마미얀마
미얀마미얀마미얀마
미얀마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