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요즘 세계에서 가장 핫한 기업이 어디일까요? 인공지능 반도체 시장을 꽉 쥐고 있는 엔비디아입니다. 주가가 급등하고 있습니다.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얼마나 올랐습니까?
엔비디아 주가는 올해 들어 두 달도 안 돼 59%나 급등해 지난주 시가총액 2조 달러를 돌파했습니다. 1조 달러를 넘어선 지 8개월 만입니다. 애플과 마이크로소프트(MS)의 시가총액은 1조 달러에서 2조 달러로 절반에도 못 미쳤습니다. 지난 22일간 늘어난 시가총액(361조 원)만 놓고 보면 삼성의 전체 시가총액(436조 원)과 맞먹습니다.
MS·인텔·삼성 이어 아마존·엔비디아까지 빅테크 투자 이어지는 이 회사는 어디
이유가 뭔가요?
제너레이티브 AI 열풍
C ChatGPT이 화제가 되면서 여러 기업들이 진짜 제너레이티브 AI에 뛰어들었습니다. AI를 배우고 운영하기 위해서는 많은 반도체가 필요합니다. 그중에서도 GPU가 나오지 않아서 난리입니다.
GPU 재평가
GPU는 원래 게임 등에서 그래픽을 처리하기 위해 설계된 반도체입니다. Generative AI에서 많은 데이터를 처리하는 데 탁월하다고 알려져 찾는 곳이 크게 늘었습니다. 엔비디아는 GPU 80% 기업이라 AI 트렌드에 힘입어 매출이 증가했습니다.
NVIDIA가 NVIDIA를 플레이하는 것입니까?
하지만 경쟁은 점점 치열해지고 있습니다. 마이크로소프트, 구글, 아마존, 메타를 포함한 몇몇 "빅 테크" 회사들도 AI 반도체를 만들기 위해 나섰습니다.
엔비디아, 시총 2조달러 돌파 MS·애플 이어 세번째
비용 절감
라이브 제너레이티브 AI를 위해서는 수천 개의 반도체가 필요합니다. 엔비디아는 시장을 꽉 잡고 있기 때문에 공급이 수요를 따라가지 못하기 때문에 부르는 게 값입니다. 반도체를 직접 만들면 비용 부담을 줄일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맞춤형 반도체 만들기
맞춤형 슈트처럼 자신의 Generative AI에 맞는 반도체를 만들고자 하는 이유가 있습니다. 반도체는 설계를 조금만 다르게 해도 성능이 달라질 수 있기 때문에 최적화된 반도체를 만들어 성능을 높이고자 합니다.
이런 상황에서 주조 공장 구성원들 간의 경쟁은 점점 더 뜨거워지고 있습니다.
파운드리: 반도체 설계 전문기업으로 반도체를 만드는 기업(=위탁생산)을 말합니다.
무슨 말씀을 하려는 거에요?
기업들이 "우리가 설계한 AI 반도체는 누가 만들겠느냐"고 하면 "내가 제일 잘 만든다!"며 경쟁합니다
TSMC
파운드리 시장의 선두주자인 대만 TSMC가 생산능력을 더욱 늘리고 있습니다. 더 많은 첨단 반도체 공장을 건설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삼성전자
2위 삼성전자는 디자인 회사와 협력하여 더 높은 성능의 반도체를 개발하고 있습니다. 숫자가 작을수록 더 많은 고성능 반도체를 만들 수 있습니다.
현재 3나노의 최신 기술을 넘어 2나노 공정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인텔
인텔은 뒤늦게 뛰어들었지만 미국 정부로부터 많은 지원을 받고 있습니다. 올해 말부터 1.8나노미터 생산을 시작해 삼성전자를 단번에 이기는 것이 목표입니다.
'이슈, 금융'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일본 물가 치솟아 외국인엔 더 비싼 값, 이중가격제 도입하자! (2) | 2024.02.28 |
---|---|
여성가족부 폐지와 관련하여 여가부가 갑자기 총선에 소환된 이유 (1) | 2024.02.27 |
패션 브랜드 로고가 새겨진 달 착륙선을 본 적 있나요? (0) | 2024.02.26 |
보고 듣고 말하는 AI인 소라와 멀티모달 인공지능 AI의 종류 (0) | 2024.02.20 |
제22대 총선 공천 현황과 전망 알아보기 (0) | 2024.02.20 |